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끌어당김의법칙115

좋은 글귀 시크릿 저자 론다 번이 말하는 끌어당김의 법칙 이론과 감사함의 중요성 아침에 행복하게 눈 뜨는 법 시크릿 저자 론다 번 끌어당김의 법칙 긍정적 사고의 대가. 모든 것은 가능합니다.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면요. 우리의 믿음으로 우리 인생 전체의 경험을 만드는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행복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눈을 뜰 수 있을까 세상에는 힘든 사람들이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아침에 행복감과 감사함을 느끼면서 일어나는 것. 당신이 행복하고 감사하면서 일어나고 싶다면 행복감과 감사함을 느끼면서 잠에 들어야 합니다. 걱정하고 슬퍼하면서 잠에 든다면 아침에 행복하고 감사할 수 없습니다. 잠에 들었던 똑같은 기분으로 일어나게 될 거예요. 그래서 밤의 가장 중요한 시간대는 잠자리에 누웠을 때 그리고 잠들기 전입니다. 정리하자면 행복과 감사함으로 눈 뜨기 위해서는 감사하면서 잠들어야 합니다. 만약 당신이 감사할.. 2023. 3. 13.
좋은 글귀 '시크릿'저자 론다 번이 말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다스리고 행복해지는 실질적인 방법 Rhonda byrne 부정적인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 저는 그다지 괴로움을 느끼지 않아요. 결코 괴롭지 않을 거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괴로운 삶이 어떨지 상상이 잘 안 돼요. 제가 그럴 수 있었던 건 하나의 여정이었죠. 책에도 썼는데요 '시크릿'에도 있지만 저항하는 것은 끈질기게 되풀이됩니다. 그래서 알게 됐죠. 부정적인 감정을 거부하면 그 감정을 내면에 밀어 넣어 억누르게 되고, 그러면 사소한 일에도 억눌렀던 감정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을 말이죠. 당신이 화를 억눌렀다면, 세상의 수많은 것들이 그것을 자극하려 들 겁니다. 당신이 눌러왔던 화를요. 그래서 제가 직감적으로 알아낸 건 부정적인 감정을 기꺼이 받아들이면 그 감정을 끌어안듯이 곁에 가까이 가져오는 상상을 하는 거죠. 정말 놀라운 건, 부정적 감정이 1~2초 강해진 뒤,.. 2023. 3. 13.
브루스 립튼 박사 무의식 혹은 잠재의식을 바꾸려면 용서할 줄 알아야 한다. Bruce Lipton 용서할 줄 알아야 잠재의식도 바꿀 수 있다 인간이 삶을 형성시키는 인식의 원천을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본능, 잠재의식적 마음속의 기억, 자아의식적 마음의 행동 여기서 세 번째 의식적 마음이 우리를 꿈을 향해 나아가게 애쓰려 하는 동안 보이지 않는 잠재의식의 프로그램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를 훼방하여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가로막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잠재의식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삶의 경험을 행동의 테이프에 다운로드하는 녹음재생 기계일 뿐입니다. 자아의식적인 마음은 창조적이지만, 잠재의식적 마음은 이미 입력된 프로그램에만 반응합니다. 주체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의식과는 달리 잠재의식적 마음은 기계에 가깝습니다. 당신의 잠재의식 프로그램을 지배하는 의식적 존재는 없습.. 2023. 3. 13.
알렉스 홀모지 끌어당김의 법칙 자기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상상하고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한다 Alex Hormozi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간단한 비법 하나를 소개할게요. 무심코 사용했는데, 엄청난 성공을 제게 가져다준 방법인데요. 스스로 이렇게 질문을 하는 겁니다. '이런 종류의 일을 하는 사람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까?' 수년간 제게 반복했던 질문은 아마 지난 5년에서 10년 동안요 '현명한 사람은 어떻게 행동할까'라는 반복된 질문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스스로를 똑똑하다고 여기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어릴 때 여러 면에서 어리석게 행동했기 때문이죠. 지금도 그렇긴 하지만요. 지금은 덜 그러려고 하죠. 당신 정체성은 저울 시스템에 가까워요. 당신이 되길 원하는 사람이 취할 행동들에 기반해서, 어느 방향으로든 투표하는 투표 시스템에 가깝습니다. 제 발상의 핵심은 '이런 타입의 사람은 .. 2023. 3. 13.
끌어당김의 법칙 제니퍼 코헨 배짱 있는 사람이 성공한다. 자기 불신을 멀리해라. 자기 불신과 배짱 있는 사람 전 인생에서 원하는 건 무엇이든 얻는 비밀을 알고 있는데요. 그걸 공유하기 전에 왜 우리는 원하는 걸 얻지 못하는지부터 얘기해 보죠. 우리 모두 두려움을 갖고 있어요. 실패에 대한 두려움, 거절에 대한 두려움, 미흡함에 대한 두려움, 이 모든 두려움은 한 가지 핵심 원인에 기인해요. 그건 자신 불신, 즉 자기 스스로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자기 불신 때문에 우린 보잘것없는 직장에 다닙니다. 멋진 몸을 갖지도, 돈을 벌지 못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고요. 원치 않는 인간관계도 더 오래 지속하죠. 자기 불신으로 인해 우린 변화를 꿰하지도, 행동하지도 않습니다. 자기 불신이 뭘까요? 자기 불신이란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얘기입니다. '난 할 수 없어, 그건 불가능해, ' 어떻게 거절당..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