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50

지그 지글러 <Zig Ziglar>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성공 알고리즘, 지그 지글러의 펌프 이론. 원하는 결과를 얻는 성공 알고리즘 이건 인생의 이야기이자 당신의 이야기이고, 우리나라의 이야기이며, 성공의 이야기라고도 믿습니다. 더운 8월이었고, 두 남자는 목이 말랐죠. 버나드는 운전을 하고, 지미는 조수석에 있었는데, 오래된 펌프를 발견해서 손잡이를 잡고 펌프질을 시작했어요. 구식 펌프 써 본 사람 있나요? 버나드는 펌프질을 했고, 3~4분 뒤에 "지미! 양동이에 물 좀 구해와! 펌프에 마중물을 먼저 부어야 해" 몇 명이나 "마중물"을 이해했나요? 여러분은 펌프 혜택을 못 받은 세대라 모를 거예요. 설명하자면 물을 먼저 부어야 물을 끌어올릴 수 있어요. 슬프게도 많은 이들이 삶이라는 화로 앞에 서서, "불을 내줘, 그러면 나무를 줄게" 절대 먹히지 않습니다. 무엇을 얻기 전에는 먼저 안에 무언가를 .. 2023. 5. 16.
명상의 해야하는 이유, 과학자들도 믿기 힘든 명상의 긍정적인 효과. 과학자들도 믿는 명상의 긍정적인 효과 과학이 우리에게 명상에 대한 뇌와 육체에 미치는 효과 이해에 도움을 주었어요. 저희는 실험에서 명상 효과에 대한 큰 두 영역을 조사했습니다. 1. 주의력 2. 감정 그리고 저희가 발견한 것은 주의력과 감정을 통제하는 중요한 뇌의 순환이 명상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겁니다. 밍규르 리포체(스님)는 저희의 첫 장기간 수습자입니다. 보통 뇌 전기 측정 혹은 MRI 시에 많은 후처리 과정이 소요됩니다. 데이터를 보기 위해 말이죠. "후처리"의 의미는 간단히 많은 컴퓨터 알고리즘이 수많은 데이터를 모으고, 많은 잡음 속 작은 신호를 찾아내기 위해 이 과정은 며칠이 걸리죠. 큰 건초 더미에서 바늘 찾기입니다. 밍규르 리포체에겐 화려한 후처리가 필요 없었죠. 신호를 맨 눈으로도.. 2023. 5. 16.
조 디스펜자 <Joe Dispenza> 우리가 계속해서 똑같은 생각과 똑같은 결과를 맞이하는 이유. 유전적 운명 속에 갇히는 경우 뇌의 어떤 부분은 고정적인 반면 어떤 부분은 가소성이 있는 것처럼, 즉 학습과 경험에 의해 바뀔 수 있는 것처럼 유전자 역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쉽게 잘 켜지는 유전자 부분들이 있는 반면, 다른 유전자 서열들은 훨씬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적이라는 말은 유전의 역사가 오래되어 잘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적어도 이것이 현대 과학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어떤 유전자는 켜고 어떤 유전자는 꺼놓을 수 있을까? 화난 상태, 우울한 상태, 불안한 상태, 무기력한 상태에 계속 머무르면 이런 화학 신호들이 동일한 유전자 버튼을 계속 눌러 결국 특정 질병을 활성화시킨다. 스트레스 감정들이 실제로 유전자의 방아쇠를 당겨서 세포 조절 장애(생리 조절 기능 장애)를.. 2023. 5. 16.
조 디스펜자 <Joe Dispenza> 긍정적인 생각 부정적인 생각, 변화를 원한다면 잠재의식 속으로. 긍정적인 생각, 부정적인 생각 한 번쯤 의식적으로 이렇게 외쳐본 적이 있을 것이다. "행복해지고 싶어" 하지만 다른 식으로 지시받기 전까지 몸은 죄책감이나 슬픔, 불안 등 부정적 감정을 계속해서 표현한다. 의식적인 마음은 자신이 기쁨을 원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몸은 오랫동안 다르게 길들여져 왔다. 변화가 최선이라고 외치고는 있지만 진정한 행복의 감정은 너무나 멀게 느껴진다. 이것은 마음과 몸이 함께 움직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의식적인 마음은 행복을 원하는데, 몸은 다른 것을 원하는 것이다. 오랫동안 부정적인 느낌에 빠져 있었다면 그 느낌들이 당신의 존재 상태를 만들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잠재의식적으로 행복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당신의 몸은 부정적인 상태로 길들여져 있다. 몸은, 의식적인.. 2023. 5. 15.
조 디스펜자 <Joe Dispenza>박사가 말하는 변화하기가 어려운 이유,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들이 습관이 되는 이유. 변화는 왜 이렇게 힘든 것일까? 자꾸만 고통을 호소하는 어머니를 오랫동안 관찰한 결과 그게 어머니가 자신이 원하는 걸 얻기 위한 행동 패턴이란 사실을 당신이 은연중 알게 되었다고 해보자. 또 당신이 살아오면서 몇몇 힘든 경험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었다고 해보자. 그러한 기억들은 나중에도 특정 시간, 특정 장소, 특정 사람과 연관되어 감정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이것은 과거의 경험을 자동으로 회상할 수 있을 정도로 자주 떠올리는 등 오랫동안 고통을 생각하고 느끼는 연습을 해왔음을 의미한다. 이제 당신은 느낌을 만들어내기 위해 더 이상 과거의 사건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늘 느끼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기가 더 어렵게 되었을 테니 말이다. 과거 사건과 관련된 생각과 느낌을 계속 되풀이함으로써.. 2023. 5.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