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인간 심리, 긍정적 글, 철학234

좋은글귀 항상 진실되고, 자신의 신념대로 행동해야 타인에게 인정받을수 있다. 가난 속에서는 몸에 지닌 빛조차 자취를 감춘다 공직사회에서 높은 지위까지 출세할 결심을 한 사람은 선배나 친지나 혹은 이웃의 줄을 잡지 말고 처음부터 맨주먹으로 나가는 것이 낫다. 그래서 자기 실력과 능력으로 점차 한 단계씩 승진해서 최고의 위치까지 올라가는 것이 훨씬 좋다. 특히 가문의 배경이 없는 사람은 청빈과 재능으로 승부를 겨루어야 한다. 세상이 많이 썩었고, 공직사회의 부패는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혼탁하지만, 그 속에 사는 타락한 공직자들도 겉으로 내세우는 명분은 늘 청빈이나 능력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그런 사람들의 간판으로 나서는 것이 좋다. 공직자들 중에서 출세 가도가 빠른 사람들을 잘 보면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그들 중에는 열등감이 심하고 스스로 무능하고 가치가 없다는 것을 잘 알.. 2023. 4. 9.
좋은글귀 재산이 많은 사람은 태초부터 두 번의 기회를 얻은 것이나 다름 없다. 재산이 많은 사람에게는 두 번의 기회를 준다 내가 여기서 돈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긴다고 해서 나를 비난할 사람은 없다. 나는 가족이 없고, 누굴 먹여 살려야 할 책임도 없이 혼자 살면서 경제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나는 그것만으로 세상에서 큰 혜택을 누리고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재산은 고생과 궁핍을 면하게 해 주고 먹고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힘든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준다. 사람이 살면서 최소한 그 정도의 은총을 받아야 진정한 의미의 자유인이라고 할 수가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런 사람만이 자기 시간과 능력에 대한 주권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 연봉 1천 달러와 연봉 10만 달러의 차이는 커 보이지만 한 푼도 없는 사람과 연봉 1천 달러의 차이는 별로 없다. 부모로부터 .. 2023. 4. 4.
좋은글귀 돈을 목숨처럼 여기지 말아야 한다. 거지가 말을 타면 말이 지쳐서 죽는다 이미 욕망 그 자체로 만들어진 인간이 돈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조금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사람들이 권력을 탐내는 것은 결국 돈을 얻는 데는 권력처럼 좋은 수단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으로는 땡전 한 푼도 얻지 않겠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오늘날은 철학 교수가 돈을 벌기 위해 자기 철학 이론을 도매금으로 팔아넘기는 판이다. 그런 형편에 돈벌이를 위해 자기가 가진 것을 모두 팔아넘긴다고 해서 나무랄 수도 없는 세상이 되었다. 전에는 돈벌이 자체를 경멸하고 단지 돈만 벌기 위해 무슨 일을 하는 사람들을 비난했지만 이제 돈은 지칠 줄 모르는 프로테우스가 되어 인간의 욕구를 계속 바꿀 수 있는 힘이 되었으므로 사람들이 돈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2023. 4. 4.
좋은글귀 인간의 욕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인간의 욕구는 세 가지 그리스의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원자론적 자연론과 이기주의적 윤리학을 창설한 학자답게 인간의 욕구를 정밀하고 교묘하게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는 먹고 입는 욕구이다. 그것은 자연적 욕구로써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인간은 가장 큰 고통을 받게 된다. 둘째는 성욕이다. 이 욕구 역시 자연적인 욕구이긴 하지만 반드시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없이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부와 명예에 대한 욕구이다. 이 욕구는 없이도 살 수 있다. 하지만 이 욕구는 종류가 너무 많은 데다가 이것을 충족시키기는 대단히 어렵다. 이상이 인간이 가진 3대 욕구의 원칙이다. .. 인간은 소유욕에 한계를 정할 수는 있지만 아주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재산에 대한 소유 욕망의 충족은 절대적인 분량이 아.. 2023. 4. 3.
좋은글귀 재산과 명성은 바닷물 같아서 마실수록 목이 마르다. 인간의 탐욕은 끝이 없고, 만족할 줄 모른다. 재산과 명성, 인간의 탐욕사람들에게 갖고 싶은 것을 말해보라고 하면 모두 자기가 현재 가진 것들은 빼고 모두 자기 능력으로는 손에 넣을 수 없는 것들만 나열해 놓을 것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욕망의 지평선이 있다는 얘기이며 욕망의 범위도 그 지평선 안에 머물러 있다는 뜻이다. 바로 그 욕망의 한계선 내에 있는 것들을 자기 손에 넣을 수 있으면 행복을 느끼지만 어떤 장애로 인해서 소유가 불가능해지면 불행을 느낀다. 그리고 욕망의 지평선 밖에 있는 것들은 거의 욕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재벌의 거대한 재산 규모에 대해서 가난뱅이는 알 수가 없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아무리 재벌이라도 자기가 원하는 만큼 갖지 못하거나 어떤 다른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가난뱅이의 행복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같다... 2023. 4.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