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하지 않는 방법, 각성하는 법
피곤하면 우린 어떻게 되죠?
눈꺼풀이 닫히고 턱이 내려갑니다.
밑으로 기울게 되죠.
강의실이나 교실에 있으실 때,
수업내용이 너무 오래가거나
늦은 오후라면
학생들의 머리가 흔들리는 걸 볼 수 있죠.
눈꺼풀도 감기고 턱이 내려간 후,
고개가 휘청거리는 걸 볼 수 있죠.
저도 그 학생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
점심을 먹고 난 후의 수업이거나
온도가 따뜻하거나 에어컨 소리 거나
피곤함에 패배하게 되죠.
그런데, 정신이 맑다면 반대가 됩니다.
눈꺼풀이 완전히 열리고,
턱은 위를 향하게 되죠.
무슨 똑바로 앉으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하지만, 제가 스탠퍼드 대학교 동료에게서 배운 건
우리 몸의 회로는 루프로 작동한다는 거죠.
우리가 위를 쳐다보면
이 멜라놉신 세포가 망막 바닥에 있기 때문에
그 위치는 머리 위로 비치는 햇빛을
보기 위해 서기 때문에
그 경계 시스템은 우리의 눈의 위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를 바라보고 눈꺼풀이 열리면
실제로 목적이 생기는 거죠.
뇌에 각성 신호를 생성하게 됩니다.
제가 이 팟캐스트에서 설명하는 가장 우스꽝스러운
방법처럼 들리시겠지만,
..
당신이 피곤함을 느낀다면
이건 뇌의 각성 시스템에 도움이 됩니다.
청빈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방출하는 영역에 말이죠.
위를 바라보면, 천장을 바라보게 되면
턱을 완전히 뒤로 돌리는 게 아니라,
천장을 향해 위로 올려다가보고
10~15초 동안 유지해 보세요.
무슨 화창한 날에 위를 올려다보며
눈을 감는 게 아닙니다.
눈으로 천장을 바라보는 겁니다.
각성에 관련된 뇌의 영역들을 촉발시키죠.
업무 중에 졸음이 자주 쏟아진다면
이 방법은 매우 유익할 겁니다.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하루 종일
휴대폰을 들여다보죠.
턱은 내려가 있고, 자신보다 더 낮게 위치한
모니터를 쳐다보고,
집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전 제 강아지가 졸려할 때도 이 방법을 씁니다.
항상 졸고 있거든요.
컴퓨터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시거나
눈높이 위로 맞추시면
실제로 각성 및 주의력을 끌어올리고,
업무를 수월히 수행하죠.
이건 뇌간 회로와 다른 신경 회로들의 연관성이
각성을 제어하기 때문이죠.
눈꺼풀을 열고 위를 쳐다보는 거죠.
...
비웃을 정도로 너무 간단한 방법이지만,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한 신경회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청방에서 분비되는 노르에피네프린은
말만 화려한 게 아니라,
뇌의 나머지 부분을 어떻게 깨어나는지에 대한
정말 흥미롭고 강력한 메커니즘입니다.
청반은 뇌의 다른 영역에 노르에피네프린을 뿌리고,
일을 하고 정신이 드는 회로를 깨웁니다.
즉, 눈을 위로 향하는 건 주의력을 높이고,
눈을 밑으로 향하는 건 주의력을 감소시킵니다.
당신의 목표가 더 많은 경각심을 만드는 거라면
컴퓨터 화면을 높게 위치해서 턱을 들고,
경각심을 생성하고 싶으면 천장을 쳐다보세요.
항상 턱을 숙여서 문자 하거나
타이핑하거나 책을 읽지 마세요.
각성 신호를 보내고 싶다면요.
모든 게 위로 향할 때 우린 경계하게 되고,
우리의 눈이 밑으로 집중할 때,
억제 또는 진정 신호를 뇌에 보내게 됩니다.
'동기부여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던 피터슨이 말하는 내면의 그림자와 통합하는 방법. 착한 남자들을 위한 현실적 조언. Jordan Peterson (0) | 2023.04.29 |
---|---|
조던 피터슨 강한 남자 혹은 강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 이유. Jordan Peterson (0) | 2023.04.29 |
앤드류 후버만 꿀잠 자는 방법과 낮잠 자는 방법. 효과적인 수면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다. Andrew Huberman (0) | 2023.04.29 |
좋은글귀 조던피터슨, 포식자들은 저항하지 않는 자만 공격한다. 순진함이 약점이 될 수 있다. Jordan Peterson. (0) | 2023.04.28 |
좋은글귀 조던피터슨, 괴물과 싸우려면 괴물이 되어야 한다. Jordan Peterson.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