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주의법칙72 밥 프록터 끌어당김의 법칙의 작동 방법과 원리, 패러다임 바꾸기 우리 모두는 에너지 그 자체이고 항상 진동하고 살아가고 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기존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낡은 습관(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우리가 원하는 것을 끌어당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밥 프록터 끌어당김의 법칙의 원리 끌어당김의 법칙은 중력과 같기 때문에 매 순간 진동하고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듯, 펜을 놓으면 떨어지듯 중력의 법칙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작동한다는 걸까요? 우리의 몸은 분자 구조로 되어 있어요. 신체는 매우 빠른 진동속도의 에너지 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되죠 현미경으로 우리의 몸을 들여다보면 바로 눈앞에서 에너지가 춤추는 걸 볼 수 있어요. 그리고 그 에너지에서 벗어나면 우리의 몸은 움직이지 않게 되죠 장례.. 2023. 8. 29. 밥 프록터 지금 당장 펜을 들고 원하는 걸 종이에 적어라 장례식장에서 가장 슬픈 것은 육체의 죽음이 아닌 활짝 피지 못한 꿈들의 죽음이다. 모든 사람들의 꿈 장례식장에서 가장 슬픈 건 육체의 죽음이 아닌 모든 꿈들의 죽음입니다. 짓고 싶었지만 짓지 않은 집, 타고 싶었지만 타지 못한 차, 가고 싶었지만 가지 않은 여행, 당신이 설립할 수 있었지만 시작하지 않은 사업, 가장 슬픈 것은 죽은 육체가 아닌 모든 죽은 꿈들이죠 저는 세계 모든 곳에서 일해왔어요. 그리고 저는 항상 사람들에게 물어봅니다.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나요? 그리고 깨달은 것은 대부분은 아주 부유해지길 원하지 않아요 그들이 원하는 건 어떤 재정적 걱정도 가지지 않는 것이죠. 새 슈트를 사고 싶으면 새 슈트를 살 수 있고, 여행을 가고 싶다면 가면 되고, 새 차를 사고 싶으면 새 차를 사는 거죠... 2023. 8. 19. 조 디스펜자 고정관념과 사회적 통념이 우리에게 끼치는 막대한 영향에 대해서 고정관념과 사회적 통념이 끼치는 영향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를 얻게 되면 정보로 인해 의식하게 됩니다. 이전엔 인식 못했던 걸 말이죠. 그리고 의식이 더 확장되면 가능성을 보게 됩니다 한편으로 정보로 인해 에너지가 생기고 깨달음을 얻고 빛이 밝혀지면서 이전엔 보이지 않던 가능성을 보게 되죠. 분석하는 마음에서 벗어나는 것이 명상의 주요 목적 중 하나예요 분석적 마음은 늘 우리에게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설득합니다. 왜냐하면 분석적 마음은 다음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일에 몰두해 있으니까요 미래를 예측하게 되면 이미 알고 있는 걸 미지의 세계에 설치하는 게 돼요. 이건 우리의 습관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뇌는 예측하는 기계니까요 그래서 많은 걸림돌과 저항이 생깁니다. 이 저항은 지속적인 불신을 동반하는데 이건 .. 2023. 8. 17. 조 디스펜자 박사 과거의 기억을 잊고 미래 혹은 결과에 사는 방법 기존의 나라는 정체청을 변화시키는 방법 프로그래밍 된 뇌를 바꾸는 실질적인 방법 과거의 기억을 잊고 미래에 집중하라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서 각자 본인의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그 문제들은 뇌의 기억 회로들이죠. 그 기억들은 각각 사람과 사물에 관련이 있고 특정 시간, 장소들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뇌가 과거의 기록들이라면 사람들이 하루를 시작하는 순간 이미 과거를 생각하고 있는 겁니다. 그 기억들 각각에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감정들은 과거 경험들의 최종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그 문제들을 기억해 내는 순간, 갑자기 기분이 나빠지죠. 슬픔과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느끼는지가 우리의 상태를 결정짓습니다 하루를 시작할 때 우리 상태가 과거로 시작한다면 이것이 무엇을 의미.. 2023. 8. 15. 밥 프록터의 부의 법칙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고 부자가 되는 것은 운전하는 것 보다 쉬운 일이다 밥 프록터가 말하는 부자가 되는 법칙, 누구나 따라 할 수 있고 누구나 이룰 수 있는 부의 법칙 밥 프록터의 부의 법칙 모두가 원하는 "부"에 대해서도 모든 걸 지배하는 법칙이 존재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다니는 지폐들이 말을 하진 못해도 우리가 하는 말을 들을 수 있기 올바르게 찾으면 쏟아질 거라고 했죠. 돈과 자신을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난"과 "부족"을 떠올려요. 그렇기에 우리가 원하는 건 돈과 자신의 이미지를 떠올릴 때마다 뇌가 "번영"의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하는 겁니다. 또한 돈을 대하는 방식을 바꿔야 하죠. 돈을 순종적이고 성실한 "하인"으로 인색해야 합니다 당신의 돈이 "주인"이고 돈은 당신의 "하인"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절대 그 공식을 바꾸면 안 됩니.. 2023. 8. 15. 이전 1 2 3 4 ··· 1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