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에서 "행동하기"로
"생각하는 뇌"에 해당하는 것은 호두처럼 생긴 대뇌 신피질이다. 인류의 가장 최신 신경 하드웨어인 신피질은 의식적인 마음, 정체성, 그밖에 고도의 뇌 기능을 담당한다. 앞에서 다룬 전두엽은 이 신피질의 네 부분 중 하나이다. 신피질은 기본적으로 뇌의 건축가이며 디자이너이다.
배우고, 기억하고, 추리하고, 분석하고, 계획하고, 창조하고, 가능성을 따져보고, 지어내고, 소통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보고 듣는 감각 자료를 기록하는 이 영역 덕분에 우리는 외부 현실과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신피질은 지식과 경험을 처리한다. 먼저, 우리는 지식을 사실 혹은 의미론적인 정보의 형태로 수집한다. 신피질이 새로운 시냅스들을 연결하여 더 많은 회로를 만들어내도록 유도하면서 말이다.
그다음으로, 자신이 얻은 지식을 적용하기로, 즉 배운 것을 입증하기로 마음먹으면 우리는 언제나 새로운 경험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경험은 신피질 안에 신경망이라 불리는 신경 세포들의 패턴을 만들어낸다. 이 신경망은 지식의 회로망을 강화시킨다. 신피질의 좌우명이 있다면 그것은 "지식은 마음을 위한 것이다"일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지식은 경험의 선도자이다. 신피질은 아직 경험되지 않은, 잠재적인 가능성으로 존재하는 생각들을 처리한다.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일 때 행동의 변화가 이어질 수 있다. 새로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 뭔가 다르게 행동하는 것이다. 습관적인 행동을 바꾸어나갈 때 예전과는 다른 일이 일어난다. 스스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생각하기"와 "행동하기"에서 "되기"로
전화번호나 현금인출기 비밀번호, 자물쇠 번호를 의식적으로 떠올리지 않아도 손가락이 저절로 움직이는 것이 사소한 일처럼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몸이 의식적 마음보다 더 잘 알고 별다른 의식적 노력 없이도 어떤 행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되었다면, 이는 몸이 그 행동이나 태도, 감정적 반응을 기억해서 그것이 하나의 기술이나 습관이 되었다는 의미이다. 이 과정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번째 뇌, 즉 소뇌가 활성화된다. 소뇌는 잠재의식을 관장한다.
가장 활동적인 영역인 소뇌는 두개골의 뒤쪽에 위치한다. 뇌의 중앙 처리 장치, 기억 중추라고 생각하면 쉽다. 소뇌의 모든 신경 세포들은 각기 최소 20만, 최대 100만 개의 다른 세포들과 연결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몸의 균형이나 조화로운 움직임, 신체 부위들 간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움직임의 제어 등을 위한 것이다.
소뇌에는 우리가 습득해서 기억시킨 고정된 태도, 감정적인 반응, 반복되는 동작과 습관, 조건반응적인 행동, 무의식적인 반사 작용 등이 저장되어 있다. 놀랄 만한 기억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는 소뇌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정보들을 내려받아서 마음과 몸속에 각인시킨다.
제2의 천성
우리가 어떤 존재 상태에 있을 때 우리는 신경화학적으로 새로운 나를 기억하기 시작한다. 그때 소뇌가 그 새로운 상태를 잠재의식적 프로그래밍의 일부로 만든다. 소뇌는 비서술 기억을 관장한다. 어떤 것을 반복해서 연습하면 그것이 제2의 천성이 되어 생각할 필요도 없이 자동으로 그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비서술 기억이다.
따라서 어떻게 그것을 하게 되는지 기술하거나 말로 명확히 표현하기가 어렵다. 그런 일이 일어날 때 우리는 행복이 새로운 자아에 내재된 기억 프로그램처럼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세 가지 뇌를 통해 "생각하기"에서 "행동하기"로, 다시 "되기"로 옮겨가는 실제적인 예를 삶 속에서 찾아보자.
우리는 먼저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회로를 활성화해 새로운 마음을 만들기 위해서 생각하는 뇌가 의식적인 "머릿속 사연"을 통해 어떻게 지식을 이용하는지 볼 것이다. 그다음, 감정의 뇌가 새로운 감정을 만들어 생각이 경험이 되게 한다.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 뇌는 몸을 새로운 마음에 길들인다. 마지막으로, 마음과 몸이 하나로 일치되면 소뇌는 새로운 나의 모습을 신경화학적으로 기억한다. 이제 새로운 나의 존재 상태는 잠재의식 속에 내재된 프로그램이 된다.
'동기부여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생각 중년에 감정을 감추는 이유. 외부세계의 자극을 피하고, 새로운 감정을 느껴보기 (0) | 2023.05.22 |
---|---|
좋은 생각 우리가 원치 않는 감정을 회피하는 이유, 외부 경험, 익숙해진 감정들 (0) | 2023.05.22 |
끌어당김의 법칙의 핵심, 마음을 내려놓고 에너지를 해방시켜라, 나의 에너지 주파수를 결과에 맞춰라. (1) | 2023.05.21 |
끌어당김의 법칙 잠재의식을 바꾸기 위해 생생하게 생각하고 상상하기 (0) | 2023.05.21 |
새로운 나를 창조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고 진심으로 답을 찾아보기, 내가 되고 싶은 주제의 지식을 채우기 (0)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