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48

레이달리오 삶의 원칙 1부 모험을 시작하라. Ray Dalio 모험을 시작하라 시작하기 전에 한 가지 짚고 넘어갈게요. 저는 제가 알아야 하는 것들을 다 알지 못합니다. 제가 삶에서 이룬 모든 성공은, 저의 앎보다는 저의 무지를 어떻게 다루는지와 관련이 있어요. 제가 다른 사람들에게 이래라저래라 한다는 게 제게는 다소 주제넘은 일처럼 들리기도 해요. 그런데도 저는 이런 얘기를 합니다. 왜냐하면 저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원칙들이 다른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거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제 삶에서 제가 어떤 시기에 와 있냐면, 더 큰 성공을 추구하기보다는 제가 깨우친 성공의 비법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해졌어요. 이 성공의 원칙들을 가지고 무엇을 할지는 여러분에게 달려있어요. 여러분은 독립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 돼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러.. 2023. 5. 5.
존 아사라프 끌어당김의 법칙이 작동하지 않는 이유, 2가지 신호가 조화를 이룰 때 일어나는 일. John Assaraf 끌어당김의 법칙이 작동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 끌어당김의 법칙이 99%의 사람에게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대부분이 신체의 다양한 에너지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고, '끌어당김의 법칙'의 진정한 원리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자, 여러분이 하나의 욕망을 가지고 있어요. 그로써 여러분은 어떠한 느낌, 어떠한 진동을 가지게 됩니다. 해당 욕망을 진실로 감정화해서 받아들였다면 말이죠. 하지만 해당 진동을 계속 지속시키지 않으면, 사그라들어 버립니다. 진동이 그렇게 강하지는 않거든요. 그러므로 여러분의 욕망을 의식적으로 생각하시고, 상상력을 이용하거나 연역적 사고를 활용하세요. 다양한 옵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거예요. 여러분의 인생에서 성취하고 싶은 게 무엇입니까? 그것은 의식적인 뇌가 .. 2023. 5. 4.
월리스 와틀스, 루이스 헤이 영적 세계와 영적 법칙의 존재, 끌어당김의 법칙의 근원. Wallace Wattles, Louise Hay 영적인 세계와 영적 법칙 모든 성공학과 자기 계발의 전제는 '영적인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이 전제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와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모르는 사실이라고요? 자기 계발에서 말하는 '합리성, 감정의 중요성, 잠재의식'과 같은 것들은 눈에 확실히 보여서 증명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것들이 실제 한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런 요소들이 개인의 성장과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성공학의 대부들이 연구와 공부 실험을 통해서 자신들만의 이론을 확립하고, 결국에는 어떤 사람들이 부자가 되는지를 확립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나온 책들이 바로 밥 프록터의 '부의 확신' 나폴레옹 힐의 "생각하라, 그리고 부자가 되어라" 월리스 와틀스의 "부는.. 2023. 5. 4.
브루스 립튼 박사가 말하는 부모님으로부터 정신적인 독립을 해야 하는 이유와 근본적인 원인과 실질적인 방법론 Bruce Lipton.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야 하는 이유 수의사들의 말에 따르면, 반려견 등의 반려동물이 아플 때 대체로 보호자와 같은 질병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흥미롭게도 보호자의 건강 상태가 반려견에게 거울처럼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서로가 에너지 차원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겠죠? 여러분과 여러분 어머니와의 관계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여러분과 여러분의 어머니의 에너지가 서로 같은 대역에 존재합니다. 여러분은 어머니의 에너지를 향해 열려 있어요. 이가기 태어날 때 이런 상태로 태어나죠. 신생아는 어머니로부터 온갖 정보를 다운로드합니다. 하지만 어머니와 분리되어야 하는 순간이 오죠. 그렇지 않으면 두 사람이 하나의 줄로 엮여 있게 되니까요. 어머니가 한쪽으로 당기면 자식이 끌려가는 등 서로 끌고 밀려가고 하겠죠... 2023. 5. 4.
앤드류 후버만 아침 기상 후 햇빛을 봐야 하는 이유와 햇빛을 받는 시간, 날씨에 따른 노출 시간, 햇빛 받는 방법에 대하여. Andrew Huberman 아침에 기상 후 햇빛을 봐야 하는 이유 눈 뜨자마자 잠시 침대에 누워있는 건 괜찮아요. 하지만, 커튼도 열지 않고, 계속 SNS나 만지작거리는 게 진짜 문제입니다. '뇌'에는 '청반점'이라고 있는데, 자세가 곧을 때, 뇌는 이 부분을 자극하지만, 반대로, 누워있으면 뇌는 깨지 않아서, 여러 모로 좋지 않거든요. 눕는 건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해서 굳이 일어나서 뭘 하는 게 어색하죠. 특히, 침대에서 폰이나 만지작거리다 창문틈으로 겨우 햇빛을 쬔다거나, 일어난 즉시 '커피'를 마시면서 시답지 않은 일을 해요. 사소한 SNS에 '집중력'을 낭비한다는 겁니다. 그러다 정작 업무르 할 때면, 조금 힘들다고 산만해지고, 주의력 결핍 (ADHD) 상태가 돼버려요. 저는 보통 6시 정도에 일어나자마자, 바로 햇빛을 .. 2023. 5.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