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철학글귀24 위대한 사상가 공자가 말하는 성공을 위한 3가지 철학 위대한 사상가 공자가 얘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성공하기 위한 철학 세 가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공자의 성공을 위한 세 가지 철학공자의 지혜는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우리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무려 약 2500년 전에 이야기했던 명언과 그의 가르침은 아직까지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럼 공자가 말한 가르침들을 바탕으로 이를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하여 성공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인"은 사람다움과 도덕적인 마음입니다. 첫 번째로 공자가 강조한 것은 인입니다. 즉 사람다움과 도덕적인 마음입니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공감 그리고 진심 어린 존중을 의미합니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2024. 11. 8. 좋은글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스토아철학, Stocism, Stoic 스토아철학 저마다에게 일어나는 일들은 모두 우주의 이익을 위한 것이다. 이것으로 충분하다. 그대가 세밀히 관찰한다면 어떤 사람에게 유용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도 유용함을 보편적인 진리로서 깨닫게 될 것이다. 이때의 유용하다는 말은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중립적인 일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원형 극장 같은 곳에서 펼쳐지는 공연이나 경기에서는 늘 똑같은 광경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된다. 그러한 단조로움이 그대를 피로하게 하는 것처럼 그대의 인생의 일들 또한 마찬가지다. 하늘 아래, 땅 위에 모든 것이 동일한 원인으로 생겨났다가 사라진다. 이와 같은 반복이 언제까지 계속될까. .. 그대 자신을 즐겁게 하려면 그대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미덕을 생각해 보라. 예컨대 활발하거나 겸손하거나 .. 2023. 4. 21. 좋은글귀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 자신을 극복하고 초월한 초인이 되어라.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 자신을 극복하고 초월한 '초인'이 돼라 사람들이여, 자신을 극복하고 초월한 '초인'이 돼라. 스스로를 뛰어넘는 초인이 되기 위하여 우리는 어떤 노력을 했던가?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지금까지 자신을 뛰어넘는 무엇인가를 향해 진화해 왔다. 그러나 인간만이 이 거대한 흐름을 거슬러 반대로 나아가고 있다. 인간은 스스로를 뛰어넘기는커녕 오히려 동물로 되돌아가려 하고 있다. 인간이 원숭이를 바라볼 때 한낱 웃음거리 또는 인간에 비해 하찮기 그지없는 존재로만 생각한다. 초인이 인간을 바라볼 때도 마찬가지다. 자신을 초월하지 못한 인간은 초인이 볼 때, 웃음거리나 하찮은 존재에 불과한 것이다. 인간의 겉모습은 벌레에서 인간의 형상으로 진화해 왔으면서도 내면세계만은 여전히 벌레의 상태로 머물러.. 2023. 4. 18. 좋은글귀 쇼펜하우어 철학, 상대를 바꿀 수 없다면 현명하게 이용하라. 쇼펜하우어 상대를 바꿀 수 없다면 이용하라 이 세상을 살아가려면 행동을 조심하고, 관대함을 지녀야 한다. 조심하면 손해와 손실을 막을 수 있고, 관대하면 다툼과 싸움에 말려드는 일이 없다.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아무리 고약하고 보잘것없다라도, 또는 어이없고 가소로운 것이라고 해도 다른 사람의 개성을 무조건 비난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 개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 변치 않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개성이 고약한 경우에는 '이런 괴짜도 있을 수 있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고 이와 다른 태도를 취한다면 그 사람에게 생사를 건 싸움을 거는 셈이다. 왜냐하면 상대의 본래적인 개성, 인식, 능력 기질이나 인상 등은,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 2023. 4. 18. 좋은글귀 쇼펜하우어 철학, 인간의 불치병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것이다. 쇼펜하우어 철학 우리들의 행복은 주로 안정된 기분과 흐뭇한 만족감을 뜻한다. 지금의 기분이나 상태가 좀 더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의 상태가 행복이다. 그러나 남의눈을 의식하는 순간 안정된 기분은 흐트러지고 불만감이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는 행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인 본위의 허영심을 버려야 한다. 그것이 나 자신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만일 우리가 이 허영심을 버려야 한다. 그것이 나 자신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만일 우리가 이 허영심을 줄이면 현재의 불행은 50분의 1 정도로 줄어들 것이다. 이 허영심을 없애는 것은 우리들의 육체를 괴롭히는 가시를 뽑아버리는 셈이지만 그것은 선천적인 고질병이어서 버리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 로마제국의 역사가 타키투스는 '어떠한 현자라도 더러.. 2023. 4. 13.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