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기부여 글

좋은글귀 조던 피터슨, 부모의 과잉보호가 자식의 미래에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에 대해서. Jordan Peterson

by SPW 2023. 4. 23.
728x90
반응형

조던 피터슨

부모의 과잉보호가 자식에게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

프로이트가 말하길,

현명한 어머니는 필연적으로 실패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머니가 제공하는 보호와 안락함이

자식들에게 필요한 모험심에 방해가 된다는 걸

알게 된다는 뜻입니다.

제가 본 것 중 그 말의 의미가

가장 잘 표현된 것은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입니다.

성모 마리아 동상인데,

망가지고 부서져버린 자신의 아들

그리스도의 시신을 그녀의 무릎에 앉혀 있고,

그녀는 그를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죠.

이것은 어머니의 용기에 대한 상징입니다.

극복해야 할 역경을 마주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그뿐만 아니라 그것을 지지하는 것 말입니다.

'아이야, 어서 너의 길을 떠나거라'

'왜요? 밖은 위험하단 말이에요'

'그래, 하지만 내 옆에 머무르는 게 더 위험하단다.

바깥세상에서는 너의 몸을 잃을 수도 있겠지만,

내 옆에 머문다면 넌 너의 영혼을 잃게 될 거야'

..

칼융은 오이디팔 콤플렉스에 관심이 많았는데,

모성의 과잉보호에 대한 것입니다.

그는 이것을 어머니의 모성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한 프로이트를 비판했고,

그는 그것이 관계적인 문제라고 했습니다.

아버지 또한 그런 일이 일어나도록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게도 일부의 책임이 있다고 봐야 한다는 거죠.

왜냐하면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는

모성의 과잉보호에 반대하는 역할을 하는 거죠.

여성은 아기에게 극도로 애착을 갖게 됩니다.

0개월에서 9개월 사이의 아기는

완전히 무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완전한 동정심과 안락함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실제로 그렇습니다.

그 이후 여성은 어느 정도 방향을 전환해야 합니다.

어머니는 자신의 태도를 바꿔야 합니다.

아이가 근본적으로 더 활동적이게 되고,

더 독립적이게 되기 시작하면요.

그리고 아이를 품에서 놓아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정말 슬프고 힘든 과정입니다.

그리고 독립을 향한 이러한 변화를

독려해 주기 시작해야 하지만,

어머니에겐 정말 어려운 변화입니다.

때문에 아버지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것은 아이의 독립을 옹호해 주고,

더 이상 모성적 보호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며, 어머니를 위로해 주고,

또한 아이의 외향적인 욕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

그러니 오이디팔 콤플렉스의 원인은

어머니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나약한 아버지에게 있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러니, 이런 부부간의 협동에 의한 결과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는 게 맞겠죠.

만일 당신이 6살이고, 또는 1학년 학생이고,

당신은 몸이 좀 안 좋다고 느낄 수 있고,

많이 아픈 척 연기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엄마가 내려와서

오늘 학교에서 시험이 있다는 걸 알려주고,

넌 시험을 볼 준비가 되지 않았고,

엄마는 배탈이 난 게 아닌지 걱정하며,

학교 가기에는 몸이 너무 안 좋은 거 아니냐고 물어본다면,

아이는 이런 생각을 하죠.

'오늘 그냥 집에 있을 수도 있겠네?

엄마가 날 오늘 집에서 쉬게 해 주면, 오늘 시험을 안 봐도 되고'

세상과 맞설 필요가 없어지죠.

그리고 아이는 배가 너무 아프다고 말하게 되죠.

아이는 선택을 했죠.

그리고 그것은 정말 끔찍한 선택입니다.

우리는 아이가 그 나이에 한 선택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죠.

그 아이는 곧 어른이 될 테고,

어른이 된 이후에도

비슷한 결정들을 내리게 되겠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