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난 재능을 소유하는 것보다 "그 재능의 사용법을 고차원에서 이해해야 하는 것이 삶에 더 큰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가 가진 세 가지 재능에 대하여
저는 인간의 세 가지 재능에 대한 가설을 세웠습니다. 그것에 대한 책을 썼고,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죠. 세 가지 재능 중 첫 번째는 "창의력"입니다. 전혀 본 적 없는 방법으로 뭔가를 하는 재능이죠. 두 번째는 "실행력"입니다. 논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일을 하는 재능입니다. 세 번째는 "공감력"입니다. 다른 이의 기분과 감정을 이해하며 일을 하는 재능입니다.
여러분은 이 세 가지 재능 중 어떤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제 생각에는 여러분이 어떤 것을 가졌든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그 재능을 무엇에 쓰느냐가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죠. 이건 정말 확실하다 생각합니다. 자신의 재능을 제대로 이해한다는 것은 여러분 깊은 내면에 흐르는 사랑과 감정을 안다는 것입니다. 그게 시작점입니다.
여러분, 이상하다고 생각 안 해 보셨나요? 왜 예술가나 음악가들은 나이가 들수록 갑자기 세상의 평화와 사랑에 대한 노래를 부르잖아요? 그렇지 않나요? 저는 드디어 이해했어요. 예술가나 음악가들이 그 나이가 들 시기에 그들의 깊은 내면에 이런 감정이 있다는 걸 깨달은 겁니다. 하지만 이 깨달음의 시기는 다양해요.
누구는 빠르고 누구는 느리죠. 그걸 늦게 깨닫는 사람들은 증오와 질투심을 죽는 날까지 느낄 수 있어요. 하지만 누군가는 10대, 20대에 깨닫죠. 즉, 중요한 것은 "당신 내면에 흐르는 사랑의 감정을 언제 깨닫는가"입니다. 재능과 능력의 사용법 세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세 가지 재능 활용하는 방법
1. "창조성"의 가장 올바른 사용법은 사람들의 고유성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겁니다. 작가로서 기본적인 역할은 사랑을 특별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우아하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모두가 A라고 말해도 그것과 비슷한 A 혹은 B로 표현해도 된다는 겁니다. 우리가 오늘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30초든 1분이든 상관없으니 집에 돌아가셔서 나와 사고방식이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겁니다.
2. "실행력"의 가장 올바른 사용법 중 하나는 배경으로 소통하는 겁니다. 세상은 똑같은 결말을 가진 영화나 드라마로 넘쳤어요. 모두가 "사랑은 중요해", "희망은 중요해"를 반복하죠. 조금만 생각해 보면 다 똑같아요. 하지만 작가는 이야기 풀어내는 기술을 통해 꼼꼼하고 세세하게 그것들을 표현합니다.
스토리를 만들어 내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에 그 일을 사랑하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일이죠. 그러니 오늘 집에 가서 할 일이 있다면 예로 공부를 하든, A를 하든, BF를 하든 결론만 말하는 것이 아닌 배경에 집중해 보세요. 왜 이 일이 내 인생에 중요한지 그 스토리를 표현하는 것이죠.
3. "공감력"의 가장 올바른 사용법은 기분을 좋게 유지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람은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리더가 될수록 부모가 될수록 기분을 좋게 유지하는 법이 그 재능의 가장 올바른 사용법임을 확신합니다. 상상을 해봅시다. 회사의 상사나 대표가 기분이 안 좋거나 화를 내면 그것만으로도 재능을 위축시키는 느낌이 들죠. 즉 사람은 지위가 높아질수록 리더가 될수록 좋은 기분을 유지하는 것이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강연이 여러분에게 어떠한 계기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동기부여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글귀 당신만 모르는 일의 법칙 51, 성공한 사람들의 인터뷰. (0) | 2023.05.25 |
---|---|
좋은글귀 쇼펜하우어 명언, 철학명언, 명언모음, 명언모음집, 모두에게 사랑받을 필요는 없다. (0) | 2023.05.24 |
좋은글귀 타이 로페즈 [Tai Lopez] 백만장자가 말하는 다음 시대의 트랜드와 부의 흐름, 지출이 자산이 되는 시대 NFT (0) | 2023.05.23 |
케빈 오리어리 [Kevin O'Leary] 사업 혹은 연애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둘 중 대체가 더 쉬운 것은 무엇일까? (0) | 2023.05.22 |
앨런 와츠 [Alan Watts] 현실, 잠재의식, 우리 모두 꿈속에 살아가고 있다. (1)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