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기부여 글

좋은글귀 쇼펜하우어 철학, 명예욕을 북돋아 주는 것은 남을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미끼가 될 수 있다.

by SPW 2023. 4. 13.
728x90
반응형

Nature

쇼펜하우어 철학

명예욕에 대한 사람들의 강한 욕구와 관심 때문에 남의 명예욕을 북돋아 주는 것은 남을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미끼가 될 수가 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정말 잘하십니다.', '정말 뛰어난 재능을 가지셨습니다.'라고 남의 비위를 맞춰준다. 명예욕을 부추겨 남을 이용하거나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아첨이 이루어지고 이 아첨은 좋은 수단과 방법으로 통하는 것이다. 하지만 내가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명예욕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를 찾는 데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명예욕이라는 것은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의 장애물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보다 남의 생각에 지나치게 관심을 갖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

하지만 우리는 지금까지 대부분 자기 생각보다 남의 생각에 의존하고 살았으며 나의 참된 자아보다는 남의 자아 속에 깃들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더욱 소중하게 여겼다. 그래서 올바른 이치를 좇기보다 남의 편견이나 무지나 독선 혹은 오해를 통해 내려진 자신에 대한 평가를 더 가치 있고 권위 있는 것으로 여김으로써 간접적인 가치와 직접적인 가치의 혼란을 초래했다. 이것이 다름 아닌 허영이 저지르는 행위, 즉 수전노의 탐욕과 다를 바 없이 수단을 위해 목적을 저버리는 잘못을 범한 것이다. 우리 인간의 모든 고뇌의 대부분은 바로 이 같은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만일 우리가 남의눈을 의식하지 않고 산다면 불필요한 불안과 걱정에서 떠나 현재의 물질적, 정신적 가치의 10분의 1만으로도 만족하고 행복하게 살 것이다. 예를 들면 자기 능력에 버거운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남의 눈 때문이며, 지나치게 큰 집에서 사는 것도 남들이 자신을 업신여기지 않게 하려고 힘들게 사는 것이다. 자기 수입에 비해 너무 비싼 옷을 입거나 고급 차를 타면서 매달 할부금에 시달리는 것도 남의눈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남의눈을 의식하지 않기로 작정하고 자기 능력에 과분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모두 처분한다면 훨씬 만족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으며, 그것이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는 뜻이다. 우리들의 불행은 대부분 남을 의식하는 데서 온다.

728x90
반응형